Programming/C
3.C언어_상수형
RInovation
2011. 4. 15. 08:39
상수형
I. 설명
상수(Constant)는 변할 수 없는 고유의 수 이다. (프로그램을 개발할때 변경되서 발생할 수 있는 버그등의 위험을 줄이기 위해 사용
II. 형식
구분 |
형식 |
#define |
#define PI 3.14159265 정수형, 실수형 구분없이 사용됨. |
const |
const char A = 2 const int B = 12345678 const 뒤에 변수형태를 지정해서 사용 |
III. 예제
IV. 설명
행번호 |
설 명 |
3 |
형태를 지정하지 않는 상수명 PI에 실수형값을 대입(대입 연산자를 사용하지 않음) |
4 |
형태를 지정하지 않는 상수명 OWNER1에 문자열을 대입 |
6 |
char형 상수 A를 선언 후 값 대입 |
7 |
int형 상수 B를 선언 후 값 대입 |
8 |
문자열변수 OWNER2선언 후 문자열 대입 |
9 |
문자열상수 OWNER3선언 후 문자열 대입 |
11~12 |
실수형 변수에 상수를 대입 |
15~16 |
char, int형 상수를 출력 |
18~20 |
문자열 변(상)수를 출력 |
22~24 |
상수를 실수형태로 출력 |
26 |
상수를 되도록 15자리를 출력하고, 소숫점 14자리가 되도록 지수형으로 출력(대문자E) |
27 |
상수를 되도록 8자리를 출력하고, 소숫점 7자리가 되도록 지수형으로 출력(소문자e) |
V. 실행결과
출력형식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
15.C언어_출력형식 지정 <=에서 확인
// 끝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