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.C언어_변수형
변수형의 개념
I. 설명
값을 저장하기 위한 공간
II. 변수 형식
종류 |
변수 형식 |
크기 |
범위 |
문자형 |
char |
1byte |
-128 ~ 127 |
unsigned char |
0 ~ 255 | ||
정수형 |
short |
2bytes |
-32768 ~ 32767 |
unsigned short |
0 ~ 65535 | ||
int |
4bytes |
2147483648 ~ 2147483647 | |
unsigned int |
0 ~ 4294967295 | ||
long |
4bytes |
-2147483648 ~ 2147483647 | |
unsigned long |
0 ~ 4294967295 | ||
논리형 |
bool |
1byte |
true or false |
실수형 |
float |
4bytes |
+/- 3.4e +/- 38 (~7 digits) |
double |
8bytes |
+/- 1.7e +/- 308 (~15 digits) |
III. 예제
IV. 설명
행번호 |
설 명 |
13,14 |
int형 변수 a,b를 선언하고 수를 대입 ( = 는 같다라는 등호가 아니라 대입하라는 대입연산자) |
15 |
float형 변수 c를 선언하고 수를 대입(float은 double형과 구분하기 위해 마지막에 f를 붙임) |
16 |
double형 변수 d를 선언하고 수를 대입 |
19 |
%o는 8진수 (printf 문은 %(숫자형식) 만큼 구분자 ,(콤마)를 사용해서 상수,변수,수식등을 넣는다. |
20 |
%d는 10진수 |
21 |
%x는 16진수 |
22,23 |
%5d는 전체(되도록)5자리를 출력하고, 초과되면 전부 출력하라 |
24 |
%.2f는 소숫점 2자리 까지만 출력하라 |
25 |
%6.3f는 전체(되도록)6자리를 출력하고, 그중 소숫점 3자리 까지만 출력하라 (double형 float형 전부 %f 사용) |
V. 실행결과